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취준3

제약취준 GMP가 뭘까? 안녕하세요. Daily_Recording 입니다. 오늘은 GMP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. 이 글이 제약회사 취업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GMP? 약사법? 먼저 시작하기 전에 산업안전은 산업안전보건법을 따르듯, 우리나라에서 의약품은 약사법을 따릅니다. GMP는 '약사법 > 약사법 시행령 > 약사법 시행규칙 > 식약처 고시 > 해설서(가이드라인)' 중에서 식약처 고시의 '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'을 말합니다. 약사법 > 약사법 시행령 > 약사법 시행규칙 > 식약처 고시 > 해설서(가이드라인) 약사법 시행령 : 의약품 등 제조업 및 수입자의 시설기준령 약사법 시행규칙 :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, 의약품 등 제조업 및 수입자의 시설 기준령 시행규칙 식약처 고시 : .. 2023. 3. 31.
제약회사 취업과 이직, 회사선택의 기준 (경험담) 안녕하세요. Daily_Recording 입니다. 저는 그동안 신입사원으로서 2번, 경력직으로서 1번, 총 3번의 취업과 이직을 경험해 봤습니다. 짧은 경력임에도 이직을 많이 한 편인데요 오늘 주제는 '취업 준비는 언제까지 하면 좋을까?'입니다. 다수의 이직 경험을 통해 느낀 '취업과 이직 그리고 회사선택의 기준'에 대한 생각을 써보려고 합니다.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이 글이 취준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. 첫 번째 기준 : 연봉 제가 첫 취업 준비를 시작했을 때 회사를 선택하던 기준은 연봉 4천이었습니다. 제가 휴학을 해서 친구들보다 약 1년 정도 늦게 취준을 시작했는데요. 그때 친한 친구들은 대부분 취업에 성공해서 연봉 4천 이상을 받고 있었습니다. 같이 대학생활하던 놈들이 취업에 다 성공해서.. 2023. 3. 1.
제약회사 취업은 확률 싸움이다. 안녕하세요. Daily_Recording입니다. 어제 취준 생활을 같이 하던 친구와 오랜만에 통화를 하면서 이런저런 얘기를 주고받았는데요. 취준 때 얘기를 하다 보니까 문뜩 오랜 시간 방치해두고 있던 블로그가 떠오르더라고요. 그래서 갑자기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 자리에 앉게 되었습니다. 제약회사 취업은 확률 싸움이다. 저는 취준 생활을 총 2번 해봤는데요. 첫 취준은 정말 쉽게 끝났어요. 자소서를 쓰는 족족 붙었거든요. 예전에도 말했듯이 그 당시 제가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은 연봉 4천이었어요. 연봉 4천 주는 회사가 정말 몇 군데 없었거든요. 많아봐야 10개? 15개? 암튼 이렇게 쉽게 취업에 성공하다 보니, 두 번째 취준 생활도 정말 쉬울 거라 생각했어요. 근데 정말. 정말. 어렵더라고요. 처.. 2022. 9. 12.
반응형